문의

chaeheejoon_font@naver.com

*무료 배포 목적의 폰트 제작 문의는 정중히 사양합니다.



활동



 


DDP 디자인랩 3층 디자인홀 / 2024.11.02

-

강연. 양희재, 채희준, 김주경, 민본, Peter Bil’ak


주최. 안그라픽스
기획. AG타이포그라피연구소

총괄. 김주경
매니저. 최지원
콘텐츠. 우주영
홍보. 최지원, 한자은
웹사이트. AG 랩

도움 • 김민영

«쿵» 

2024.5.3.–12.29. 

부산현대미술관 1층 

-

기획: 부산현대미술관, DDBBMM 

그래픽 디자인: DDBBMM

가구 및 공간 디자인: 길종상가 


«쿵»은 새롭게 단장한 부산현대미술관 뮤지엄숍과 로비를 전시 공간으로 활용하여 감상의 영역을 일상의 공간으로 확장함으로써 더 많은 관람객이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예술을 경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한 전시입니다. 이번 전시에는 국내외 다양한 배경의 작가 및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참여하여 각자의 개성과 창의력을 도장이라는 작은 사물에 담아냈습니다. «쿵»은 본래 지배계급의 전유물이었던 도장의 온전한 민간 보급을 촉발한 고무도장을 특히 주목합니다. ‹고무도장 이전의 도장›, ‹고무의 역사›, ‹고무도장의 등장›, ‹고무도장 제작 기술›, ‹고무도장과 예술›, ‹기념 도장›, ‹취미: 고무도장›으로 세분화해 고무도장을 여러 각도로 바라봅니다. 


ABC @artistsbookscooperative 는 책의 형태를 연구하고 실험하며, 협업을 통해 대안적 도서 유통을 모색하고자 하는 다국적 예술가, 출판업자, 교육자들의 모임입니다. ABC는 2023년에 시작된 프로젝트 ‹ABC 스탐파›를 출품합니다. ABC 멤버 루이 포터 @louis_b_porter 와 조지 깁슨 @georgegracegibson 이 기획한 ‹ABC 스탐파›는 울리세스 카리온의 미완성 작 ‹스탐파 뉴스페이퍼›(Stampa Newspaper)에 대한 오마주입니다. 카리온의 원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ABC는 예술가들을 초대해 고무도장 도안을 요청하고 그것을 찍을 위치를 표시하도록 했습니다. 그 결과 두 명 이상의 예술가들이 동일한 위치를 표시하기도 했고, 참여자들의 도안이 공존하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ABC 스탐파›는 새로운 손님의 참여를 환영하며,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프로젝트입니다. 부산현대미술관에 전시될 판에는 ABC의 새 멤버 아르노 디쟈르뎅(Arnaud Desjardin), 한국인 참여자 권수진, 남주현(유어마인드), DDBBMM, 박길종, Bird Pit, 양희재, 오혜진, 이가영, 이재영(6699프레스), 이제령, 채희준의 고무도장이 새롭게 추가됩니다.




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의 연계전시 

〈100 Films 100 Posters〉의 큐레이팅과 디자인을 진행했습니다.


전주국제영화제 

100 Films 100 Posters 


일시: 4. 27-5. 6

장소: 팔복예술공장, 전주 영화의거리


큐레이션 및 그래픽 디자인. 

포뮬러(채희준, 신건모) 


공간.

OTC (원투차차차)


사진.

임효진


주관. 

GRAPHIC



4.30(일), 16:00

팔복예술공장 이팝나무홀 (전북 전주시 덕진구 구렛들1길 46)


1부: 100 Films 100 Posters 디자이너 토크

패널: 정미정 / 비주얼스프롬 / 전채리, 홍기웅

모더레이터: 채희준 (100Films 100Posters 큐레이터)


2부: 제24회 전주국제영화제 페스티벌 아이덴티티 디자이너 토크

패널: MHTL (맛깔손)

모더레이터: 김광철 (아트디렉터)

주관. GRAPHIC

2022 서울 아트스테이션 / 서울특별시, 일민미술관

(강남역 9번 출구)
«오민», 채희준, Digital Image, 116x161cm, 2022.
«기하», 채희준, Digital Image, 116x161cm, 2022.

서체 «오민»: “미래가 진실을 말하도록 두라. 내 업적과 성과는 하나하나 미래에서 평가받을 것이다. 현재는 그들의 것일지 모른다. 허나, 미래는, 내가 진정으로 일함으로써 얻은 미래만큼은 다른 누구도 아닌 나의 것이다.” — 니콜라 테슬라

서체 «기하»: “그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씁쓸한 아몬드 향내는 언제나 그에게 짝사랑의 운명을 떠올리게 했다”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2022. 문장 부호 이어말하기 : 문장 부호에 진심인 편 

/ 타이포잔치 사이사이 2022-2023 :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 

(문화역서울 RTO)

art Director. 박연주 / curator. 신해옥

2020.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19회 학술대회 

/ 서울대학교 74동 오디토리엄

2019. Type Forest, Type Show Time

/ 타이포잔치 2019 (문화역서울 284)

art director. 진달래&박우혁 / curator. 노은유&함민주

2017. 한글에 숨어있는 디지털 DNA / 국립과천과학관

with 안삼열, 이용제

2017. 한희정, 가시적 파동: 더 이상 노래를 노래하지 않으리 

/ 탈영역 우정국

with 한희정 / 구모아, 신건모, 임솔, 오경섭, 정영훈, 한동훈

2016. 훈민정음 반포 570주년 특별전: 

1446년 한글, 문화를 꽃피우다 / 서울국제도서전

director. 이용제

2016. 세종, 한글을 입다展 / 세종시 정부컨벤션센터 기획전시실

주관. 십년후연구소

2016. 글자–체. 글–자체 : Letter-ing展 / 소격동 장진우식당

with 문충실, 박민철, 오경섭, 최서훈

2016. 대구 264작은문학관 

director 사월의눈

2015. 글자–체. 글자체展 / 동네커피 

with 문충실, 박민철, 오경섭, 최서훈

2014. 책, 시. 글자. 그림展 / 갤러리사각형 

with 류양희, 안삼열, 이용제, 한재준


에세이 / 인터뷰



➔ 월간디자인 [현재와 미래의 획을 긋다, 한국의 디지털 폰트]

“채희준 폰트샵은 디지털 시대에 개인 창작자가 자신의 작품을 직접 관리하고 판매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며, 디지털 폰트 시장에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2024. 04. News. 김세음 기자


➔ 디자인프레스

“TV 프로그램의 타이틀 디자인은 대개 사람들의 관심을 끌지 못하지만, 이것은 예외다. 지난해 〈유희열의 스케치북〉의 후속작으로 기획된 KBS의 심야 음악 토크쇼 ‘더 시즌즈’의 이야기이다.”

2024. 04. News. 김혜원 기자


➔ 월간디자인 [월간디자인이 주목하는 디자이너 15팀]

“포뮬러는 그들의 작업 세계가 그러하듯 ‘근본’으로 돌아갈 준비를 지금 막 마쳤다.”

2024. 01. News. 정인호 기자 / 최지원 객원 기자 


➔ 월간디자인 [2023 한국 디자인 연감]

〈KBS2 라이브 뮤직 프로젝트 더 시즌즈〉

“박재범의 드라이브는 래퍼이자 댄서인 박재범이 갖고 있는 쿨한 캐릭터와 여름밤의 드라이브 분위기를 가미해 디자인 했다.”

〈전주국제영화제 〈100Films 100 Posters〉

“다양한 언어권의 영화가 출품되는 국제영화제의 성격을 직관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100Films 100 Posters〉라는 전시명을 여러 언어로 보여주고자 했다.”

2023. 12. News. 김세음 기자


➔ 월간디자인 [영감의 캐비닛, 디자인 아카이브]

“〈채희준 2022 프레젠테이션〉은 관람객이 조판 샘플을 직접 골라 가져갈 수 있도록 기획했다. 글자의 형태보다 글의 재료로서 익숙한 대다수에게, 글자를 하나의 창작물로 받아들이고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여 영리한 기획으로 주목받았다.”

2023. 10. News. 최지원 객원 기자


➔ Notefolio [창작자와의 인터뷰]

“작년에 뚝섬역 서울숲 근처에서 팝업 전시를 열었는데, 폰트는 그냥 컴퓨터가 알아서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개념인 줄 알았다는 분이 정말 많았어요. 폰트도 누군가의 고민과 노력을 통해 제작된 창작물이라는 인식이 많이 확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3. 06. Interview


➔ 디자인프레스 [영화가 디자인이 되는 100가지 방식]

“2023 백필백포의 큐레이션은 디자인 스튜디오 포뮬러가 맡았다. 포뮬러의 멤버인 그래픽 디자이너 신건모와 타입 디자이너 채희준은 지난 전시에 디자이너로도 참가한 경험이 있다. 올해, 선수가 아닌 감독으로 프로젝트를 이끌며 이들은 무엇보다 다양한 분야의 참가자를 구성하는 일에 노력을 기울였다. ”

2023. 05. News. 김가인 기자


➔ 월간디자인 [2022 한국 디자인 연감]

〈장기하×채희준〉

“뮤지션 장기하는 우리말과 글을 사랑하고 그것을 음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본인의 정체성을 담은 서체를 만들고자 했다.”

〈일민미술관 ― ‘오민’전시 아이덴티티〉

“서체 오민은 시간 감각을 실험하는 엔트로피 개념과 맞닿아 있으며, 예민하고 집요하게 구축해온 오민의 세계관과 비슷한 인상을 준다.”

2022. 12. News


➔ 월간디자인 [채희준 2022 프레젠테이션]

“글자 디자이너 채희준이 지난 10년간 만든 폰트를 선보이는 개인 전시를 열었다. 형형색색의 종이에 각기 다른 굵기로 인쇄되어 전시장 벽을 가득 채운 서체를 열심히 감상하는 관객의 모습은 서체를 더 친숙하게 소개할 만한 콘텐츠가 이 세상에 더 필요하다고 알려줬다.”

2022. 11. News. 박슬기 기자


➔ Typozimmer Nr.9: One Man Foundry

“글자디자인 분야의 가능성을 넓히는 다양한 시도를 기획하고 있고, 최근에는 뮤지션 장기하, 오민 작가와 콜라보레이션 해서 폰트도 출시했다.”

2022. 10. Interview


➔ BeAttitude

“글자를 의인화해서 질문을 던지기도 했고요. “글자에 나이가 있다면, 몇 살일까요?”처럼요. 기하 님은 “30살 정도였으면 좋겠어요”라고 말하셨죠. 저는 기하 님이 지닌 추상적인 느낌을 구체적인 형태로 이끌어내야 하는 입장이라서, 다양한 설문을 통해 적절한 힌트를 포착하는 게 중요했어요. 매체에서 기하 님을 접한 분은 이미 아시겠지만, 가벼운 질문에도 상당히 고민하고 디테일하게 답변하는 모습이 흥미로웠어요. 이를테면 “이 글자를 귀여움 vs. 멋짐으로 나눈다면 어디에 가까울까요?”라는 질문에 진지하게 고민하시더니 이렇게 답하시더군요. “귀여움 30%, 멋짐 70%…블렌딩이요!” (웃음)”

2022. 04. Interview


➔ 디자인프레스

«초설»은 첫눈, 사랑과 같은 느낌을 상상하며 만든 서체예요. 어느 날 방송국에서 방송 자막에 쓰고 싶다고 연락이 왔어요. 아직 어느 방송사인지는 모르던 상태였거든요. 초설 제작 의도를 생각하면 프로그램 ‘하트시그널’과 잘 맞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정말 하트시그널 시즌3의 메인 자막으로 사용하겠다고 하시는 거예요. 그때 굉장히 신기한 기분이 들었어요.

2022. 03. Interview. 유제이 기자


➔ 가나다라 7호 [홍익대학교 한글꼴연구회]

폰트 구매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선택권을 소비자에게 주는 것이 산업에게도 개인에게도 좋을 거라 생각해요.

2022. 02. Interview. 취재 ― 태솔비 디자이너


➔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글짜씨19

“좋은 글자를 만들어내는 건 단순한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파생은 열심히 시간을 들여서 노력한 만큼의 결과가 눈에 보이지만, 연구는 내가 제어할 수 없는 영역이라고 느껴지기 시작했다. 좋은 글자를 만들어내려면 반드시 물리적인 시간을 흘려보내며 다듬어야 한다. 짧게 지켜본 형태는 시간이 지나면 조악해 보일 확률이 높다.”

2021. 03. Essay


YCK 매거진

“‘청월’과 ‘청조’는 완성 뒤 이름을 지었다. 글자를 만들고 있을 때의 감정과 상황들로 이름을 지은 것이다. ‘청월’을 만들 때는 회사를 다니며 주로 밤에 작업을 했다면, ‘청조’는 이른 아침부터 일어나 오로지 글자 작업만 했을 때 지은 이름이다.”

2020. 06. Interview


➔ 타이포그래피서울

“저는 창작을 할 때 본인의 감정을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 전에 떠올렸던 막연한 느낌, 그 감정의 근원을 잘 추적해야 정확한 결과물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2020. 11. Interview. 임재훈 기자


➔ 이런 타이포그래피02 [월간디자인 Vol.509]

“글자에도 미감味感이 있다. 그렇지만 어떤 사람들은 여러 가지 미감을 한 가지 맛으로 인식해버린다. 글자 디자이너들은 다양한 관점으로 자신의 글자 디자인을 설명한다. 활자의 역사를 설명하거나 전통적인 양식에 대한 기초 지식을 알려주기도 한다. 글자 디자이너 입장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듣는 이가 글자 디자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이해하려는 의지가 있을 때만 유효하다. 그렇다면 글자를 맛보게 해준다면 어떨까?”

2020. 11. Essay


➔ 폰트클럽

“글자는 상품이기 때문에 상품성도 중요하지만 일단은 자신이 좋아하는 형태를 찾아서 그려보는 것이 더 중요한 것 같다. 독립적으로 작업하는 폰트 디자이너는 더욱 그렇다. 폰트는 상당히 긴 시간을 요구하는 분야라서 능동적인 태도로 작업을 해야 하는데, 본인이 그리고 있는 글자가 만족감이 높아야만 글자 한 벌을 완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20. 02. Interview


➔ 매거진 CA 238호

“저는 제게 성취감을 주는 행위를 소중히 여기며, 글자 그리는 일을 가장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필연적으로 맞이하게 되는 한글 디자인의 긴 호흡은 제 성격에 꽤 적합하다고 느낍니다. 저는 절대 글자를 취미로 그리고 있지 않습니다.”

2018. 05. Interview


➔ 모임꼴 1호

“오륜행실자가 옛 한글 중에서 완성도가 높다고 한 김진평 선생님의 글을 보았어요. 그때부터 궁금증이 생겨 자료를 찾아보다 시작된 것 같습니다.”

2016. 11. Interview


➔ 타이포그라피 교양지 히읗 6호

“복원을 마치고 글자들을 그려 나갈 때 여러 가지 고민이 생겼다. 글자의 뼈대만 가져와서 자유롭게 표현할 것인가, 원본의 분위기에 맞게 목활자 느낌을 살릴 것인가.”

2014. 01. Interview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